계양산 둘레길(2022-05-14)
1. 산행일 : 2022.05.14 (토요일)
2. 높이 : 계양산(395m)
3. 위치 :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4. 등산코스/소요시간 : 경인교대입구역-계양산 장미원-계양산정상-하느재고개-계양역
5. 특징/볼거리 :
계양산은 해발 395m로 인천을 대표하는 (鎭山)이자 주산이다 계양은 과거 기원초부터 19세기 말까지 읍치(邑治)가 계양산을 중심으로 하여 서쪽 삼국시대 고현읍(동북쪽古縣邑)에서 시작하여 쪽 그리고 동쪽으로 이동하며 마지막 남쪽 조선시대 부평도호부읍(富平都護府邑)에 이르기까지 여섯번 환천(換遷)을 하면서 발전하고 번창하였다
계양산 동쪽기슭 봉우리에는 삼국시대에 축조된 계양산성 (桂陽山城)이있고 서쪽으로는 조선 고종20년 (1883년)에 해안방비를 위하여 부평고을주민들이 축조한 중심성(衆心城)이 징매이고개(景明峴)능선을 따라 걸쳐있다 계양산이란 이름은 지명의 변천에따라 수주때에는 (樹州岳)안남도호부 때에는 안남산(安南山)계양도부때에는 계양산(桂陽山)으로 불렀다고 전해지며
계양산의 산영 유래는 계수나무계와 화양목이 자상하여 붙여진 이름이라하며 1944년 1월 8일 인천시 최초의 도시자연공원 (桂陽公圓)으로 결정되고 그후 계양산은 시지정 제1호의 공원이되었다
인천광역시 계양구에 위치한 산. 높이 394m. 고려시대에는 안남산이라 불렀다. 시흥천과 계양천이 이곳에서 발원한다. 반암과 결정편암 및 화강반암류의 굳은 암석으로 구성된 잔구이다. 이 산의 남동산록에 부평구읍이 있어 주위에 많은 유적과 유물이 산재해 있다. 계양산성·중심산성을 비롯해 봉일사,명일사,만일사,지선사 등의 터와 탑이 있으며, 구읍에는 부사청·관아지·문묘·욕사지.어사대 등 설화에 얽힌 유적이 많다. 남동쪽에 부평평야, 북쪽에 김포평야가 있다.
계양산 장미원
산조팝나무 비슷한
애기나리
천문동
대당문근, 大當門根, 만세등, 萬歲藤, 전륵, 顚勒, 호라지좆, 부지깽나물
부지깽나물·호라지좆이라고도 한다. 짧은 뿌리줄기에서 방추형의 뿌리가 많이 퍼진다. 줄기는 덩굴성이며 가늘고 길다. 식용·약용으로 이용된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덩이뿌리를 천문동이라고 하며 약재로 쓰고 또 당속(糖屬 : 설탕에 조려 만든 음식)을 만드는 데도 쓴다. 약으로 쓸 때는 탕으로 하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사용하며, 술을 담가서도 쓴다. 장기간 사용을 금하며, 또한 복용 중에 잉어를 금한다.
관련질병: 가슴답답증, 각혈, 간질, 강장보호, 강화, 건해, 경련, 골반염, 골수염, 골증열, 구토, 근골무력증, 근골위약, 기고, 담, 당뇨병, 대변불통, 발열, 보신·보익, 보양, 보폐·청폐, 보혈, 성욕감퇴, 소갈증, 소변불리, 소변불통, 오로, 오장보익, 음위, 이롱·난청, 인두염, 인후염·인후통, 자양강장, 절양, 종독, 중독(아편중독), 진정, 창종, 토혈, 파상풍, 폐결핵, 폐기종, 폐렴, 풍, 풍한, 해수, 해열, 허약체질, 후두염
둥글레
산사나무 꽃
산나리꽃
찔레꽃
노린재나무
팥배나무 꽃
'인천의 산 > 계양-천마-월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계양산(쾌적한 좋음)둘레길 (0) | 2022.07.06 |
---|---|
천마산 계양산 둘레길 (0) | 2022.06.26 |
계양산 산책길(2022-06-09) (0) | 2022.06.15 |
계양산 장미원 음악회 둘레길 (0) | 2022.06.02 |
계양산 둘레길(2022-05-01) (0) | 2022.05.06 |
봄 계양산 둘레길(2022-03-20) (0) | 2022.03.28 |
봄 계양산 둘레길 (0) | 2022.03.09 |
겨울 계양산 둘레길(2022-02-20) (0) | 2022.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