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의 산/서울시 여행

봄 창덕궁 홍매화(2025-03-25)

봄 창덕궁 홍매화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에 있는 조선시대 궁궐의 정원. 사적.

일자  :  2025년 03월 25일 (화요일)

날씨  :  맑음

봄은 환상(fantasy)이다. 있는 듯, 또 없는 듯 금세 사라진다. 눈 깜짝할 새 여름이 밀어내서일 테다. 그래서 간절하다. 좀 더 간직하고 싶다. 봄꽃 마중을 나가는 수백, 수천, 아니 수만 명의 인파를 보고 고개를 끄덕이는 이유다.

​꽃샘추위에 황사비까지 봄이 오려는 것에 어깃장 요소가 넘쳐나고 있다. 하지만 순리를 거스를 수는 없다. 벚꽃 나무에는 이미 꽃망울이, 비바람을 굳건히 이겨내며 목련꽃 또한 흰 자태를 내보이고 있다. 곧 봄꽃 판타지가 펼쳐질 것이란 신호인 셈이다.

비교적 봄꽃이 늦게 피는 서울도 봄을 고대하고 있다. 서울의 봄꽃은 개화시기가 조금씩 다르다. 가장 먼저 매화가 지난 20일 피기 시작했고, 홍매화와 살구꽃 역시 슬슬 분홍빛 꽃잎을 날리는 중이다.

​벚꽃은 4월 3일 전후로 개화를 예고했고, 약 1주일 뒤에 겹벚꽃이 모습을 드러낼 전망이다. 물론, 이 모든 시기는 순전히 예상이다. 최근 지구 온난화의 영향으로 개화시기가 앞당겨지거나 지역에 따라 동시에 필 수도 있다.

서울 종로구 창덕궁(昌德宮)에는 한발 앞서 봄을 알리는 매화가 궁궐의 단청, 기와와 어우러지며 색다른 아름다움을 선사한다. 홍매화는 매화나무에 피는 장미과의 갈잎나무로 분홍의 색을 띠는 것을 홍매화라 부른다. 다른 봄철 꽃들에 비해 다소 개화가 이른 편이며 봄을 알리는 꽃으로 알려져 있다.

​창덕궁은 조선 5대 궁궐 중 유일하게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돼 더욱 의미가 있다. 봄이 되면 궁궐 전각과 후원에 매화뿐만 아니라 다양한 꽃들이 자태를 뽐내며 피어있어 더욱 둘러보기 좋은 장소다. 후원은 제한 관람지역으로 반드시 예약 후 해설사의 인솔아래 입장할 수 있으니 꼭 알아보고 방문하기를 추천한다.

무려 400년의 수령을 자랑하는 성정각 자시문 앞 홍매화는 선조 때 명나라 사신이 보내온 성정매로 예전 추위로 인해 일부가 고사해 수령에 비해 크기는 작은 편이다. 그러나 여러 겹의 홍매가 흐드러지게 피어난 모습은 기품있고 우아하다.

번화한 도심, 그것도 고층빌딩이 즐비한 삼성동에서 오랜 세월 자리를 지키고 있는 봉은사에도 홍매화가 봄을 알린다. 봉은사는 1200년의 유구한 역사와 조계종을 대표하는 선종 수사찰로 도시공원과 역사문화 공간의 의미가 있다.

​일주문을 통과하면 포대화상 연못과 주차장 사이의 정원에서 첫 홍매화를 만날 수 있다. 대웅전 우측에는 백매화가 자리하고 있으며 많은 사람이 찾는 홍매화는 대웅전 뒤편으로 오르면 만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