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030)
청계천 애완동물거리(2023-03-18) 청계천 애완동물거리 주소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신동 일자 : 2023년 03월 18일 (토요일) 날씨 : 맑음 서울 종로구 동묘앞역 6번 출구로 나와 조금 걷다 보면 서울 도심 한복판에서 앵무새, 토끼, 거북이를 만날 수 있다. 이곳은 바로 청계천 애완동물거리다. 청계천을 사이에 두고 동대문 평화시장과 마주한 애완동물거리, 그곳의 동물들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을까? 문을 연 가게도, 동물을 사러 온 손님도 많지 않은 7월의 마지막 금요일. 영업 중인 가게들마다 길가에 내놓은 케이지 안에는 토끼, 햄스터 같은 소동물들이 뜨거운 여름 햇빛을 받으며 잠을 자고 있었다. 하나의 좁은 케이지 안에 족히 10마리는 들어가 있어 동물들끼리 서로 엉켜 있는 모습이었다. 비단 소동물뿐만 아니라 새들도 마찬가지였다. 투명..
예봉산 세정사 너도바람꽃(2023-03-19) 예봉산 세정사 너도바람꽃 1. 산행일 : 2023.03.19(일요일) 2. 높이 : 예봉산(683m) 3. 위치 : 경기도 남양주시 4. 등산코스/소요시간 : 운길산역-주필거미박물관-세정사계곡-세정사-임도안내도-예봉산 정상(683m)-팔당역 5. 특징/볼거리 : 예봉산과 적갑산은 능선에서 마주보고 이어지는 아기자기한 산이며 능선길로 1.5km 정도 떨어져 있다. 적갑산 산행은 예봉산 정상에서 북서쪽 안부에 내려서면 팔당과 세정사로 가는 큰 길이 있으며, 630봉에 올라 잡목림 길을 따라 적갑산에 닿게 된다. 적갑산에서는 서쪽 능선길을 따라 문룡 마을로 내려가는 길이 있고, 북능을 따라 6분 정도 가면 갈림길이 있는데 불개미 집이 있다. 이 갈림길에서 왼쪽의 희미한 길을 따라가면 한적한 계곡 속으로 내려서..
수리산 노루귀 변산바람꽃(2023-03-17) 수리산 노루귀 변산바람꽃 1. 산행일 : 2023.03.17(금요일) 2. 높이 : 수리산 (489m) 3. 위치 : 경기 군포시/안양시/안산시 4. 등산코스/소요시간 : 병목안시민공원~수리산성지~수리산도립공원~변산바람꽃 군락지~수리산성지-병목안시민공원 5. 특징/볼거리 : 2월 중순부터 남쪽 지방에서 변산바람꽃이 피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더니 수리산에도 꽃이 피었다. 야생화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변산아씨'로 부르며, 꽃이 피기 시작할 때부터 산으로 들로 꽃을 찾아 나서기 시작한다. 매년 날씨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수리산에서는 3월 1일을 전후하여 피기 시작하여 중순에 대부분 꽃이 핀다. 4월에 열매가 여물고, 5월에 씨가 되어 씨방이 터지며 씨가 퍼지고 한 해의 삶을 마무리하고 땅속에 뿌리만 남는다. ..
남한산성 청노루귀(2023-03-15) 남한산성 청노루귀 1. 산행일 : 2023.03.15(수요일) 2. 높이 : 남한산 (522m) 3. 위치 :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서울특별시 송파구 마천동 4. 등산코스/소요시간 : 5. 특징/볼거리 :동문-제11암문(동암문)-지수당-남한산성교회-연무관-북문-연주봉웅성-성불사 남한산성 청노루귀 그동안 영월 금몽암에서 만나온 청노루귀가 수도권인 남한산성에 있다는 소식을 접하고 인터넷을 검색하여 위치를 확인하고 8호선 남한산성입구역에서 출발 남산산성을 올라 편도 5km 가까운 거리를 걸어 도착하였으나 넘 빨리 온 것인지 개체수가 줄어든 것인지 땅바닥에 코를 박고 보물찾기 하듯 찾아보았지만 달랑 4개체가 보일 뿐으로 조금은 허탈하였고 내려오는 발걸음이 무거웠다 도립공원에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남한산성..
봄 봉은사 홍매화(2023-03-14) 봄 봉은사 홍매화 주소 : 서울 강남구 삼성동 도심 코엑스 부근의 사찰 봉은사 도심 속에서 운치있는 힐링 일자 : 2023년 03월 14일(화요일) 날씨 : 맑음 내용 대한불교조계종 직할교구 본사 조계사의 말사이다. 이 절은 794년(원성왕 10)에 연회국사(緣會國師)가 창건하여 견성사(見性寺)라 하였다. 그 뒤 고려시대의 사적은 전해지지 않고 있다. 1498년(연산군 4)에 정현왕후(貞顯王后)가 성종의 능인 선릉(宣陵)을 위하여 능의 동편에 있던 이 절을 크게 중창하고, 절 이름을 봉은사라고 개칭하였다. 1501년(연산군 7) 나라에서 절에 왕패(王牌)를 하사하였다. 1551년(명종 6) 이 절을 선종(禪宗)의 수사찰(首寺刹)로, 광릉의 봉선사(奉先寺)는 교종의 수사찰로 삼았으며, 보우(普雨)를 주지로..
청계산 매봉 노루귀(2023-03-13) 청계산 매봉 노루귀 1. 산행일 : 2023.03.13 (월요일) 2. 높이 : 청계산 (618m) 3.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원동, 경기 과천시 막계동 , 의왕시 청계동, 성남시 수정구 4. 등산코스/소요시간 : 정부과천청사역-매봉-청계계곡-노루귀-청계산주차장 5. 특징/볼거리 : 노루귀 해설 본 분류군이 속한 노루귀속은 전 세계적으로 약 7종밖에 되지 않은 작은 속이다. 우리나라에는 울릉도 특산인 섬노루귀를 포함해서 3종이 분포한다. 학자에 따라 바람꽃속(Anemone)에 분류하기도 한다. 새끼노루귀(H. insularis Nakai)에 비해서 전체가 더욱 크며,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경우가 많다. 남해안부터 북부지방을 거쳐 만주, 우수리 등지까지 분포하므로, 새끼노루귀와는 분포 지역이 다르..
봄 인천대공원 청노루귀(2023-03-11) 봄 인천대공원 청노루귀 주소 : 인천 남동구 무네미로 236(우)21533 지번장수동 753 일자 : 2023년 03월 11일(토요일) 날씨 : 맑음 봄을 맞아 활짝 핀 꽃들이 인천대공원에서 관람객을 기다리고 있다.인천시 인천대공원사업소는 인천수목원이 동절기 수목휴식기간을 마치고 1일 개장한다고 밝혔다. 인천수목원은 인천대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들꽃에서부터 멸종위기종인 섬개야광나무, 미선나무 등 1,350여종이 식재, 전시되어 있다. 현재 봄의 전령사‘복수초’, 노루귀, 처녀치마꽃, 홍매화 ,풍년을 부르는‘풍년화’가 활짝 피어 있으며,‘납매’도 금방이라도 꽃망울을 터트릴 듯 힘껏 자태를 뽐내며 관람객들을 맞이할 준비를 하고 있다.인천수목원은 무료로 관람할 수 있으며, ..
봄 구름산 노루귀(2023-03-10) 봄 구름산 노루귀 1. 산행일 : 2023.03.10 (금요일) 2. 높이 : 구름산(240m) 3. 위치 : 경기도 광명시 시흥 4. 등산코스/소요시간 : 수자원공사광명가압장-가리대광장쉼터-노루귀군락지-가리대광장쉼터-구름산도시자연공원 5. 특징/볼거리 : 식물 이름을 동물에서 따온 경우는 그 동물의 특징을 보여주는데, 노루귀는 잎이 나오는 모습이 마치 노루의 귀를 닮아서 붙여진 것이다. 옛 사람들의 상상력을 엿볼 수가 있다. 노루귀는 산에 많이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나무 밑에서 잘 자라는데, 비교적 토양이 비옥한 곳을 좋아한다. 뿌리는 옆으로 자라며 마디에서 잔뿌리가 나온다. 키는 9~14㎝ 정도이며, 잎은 길이가 5㎝이다. 잎은 세 갈래로 갈라진 형태인데, 난형이며 끝이 둔하고 솜털이 많이 나 있다...
봄 수리산 변산바람꽃(2023-03-08) 봄 수리산 변산바람꽃 1. 산행일 : 2023.03.08(수요일) 2. 높이 : 수리산 (489m) 3. 위치 : 경기 군포시/안양시/안산시 4. 등산코스/소요시간 : 병목안시민공원~수리산성지~수리산도립공원~변산바람꽃 군락지~슬기봉~임도오거리~초막골생태공원~철쭉공원~수리산역 5. 특징/볼거리 : 2월 중순부터 남쪽 지방에서 변산바람꽃이 피었다는 소식이 전해지더니 수리산에도 꽃이 피었다. 야생화에 관심 있는 사람이라면 '변산아씨'로 부르며, 꽃이 피기 시작할 때부터 산으로 들로 꽃을 찾아 나서기 시작한다. 매년 날씨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수리산에서는 3월 1일을 전후하여 피기 시작하여 중순에 대부분 꽃이 핀다. 4월에 열매가 여물고, 5월에 씨가 되어 씨방이 터지며 씨가 퍼지고 한 해의 삶을 마무리하고 땅..
봄 매화 청계천 야생조류(2023-03-06) 봄 매화 청계천 야생조류 주소 :서울 종로구 서린동 148 일자 : 2023년 03월 06일 (월요일) 날씨 : 날씨 만물이 겨울잠에서 깨어나는 시기인 '경칩'을 사흘 앞둔 3일 서울 성동구 용답동 청계천 매화거리의 매화가 개화를 시작했다. 맑고 포근한 날씨 속에 나들이 나온 시민들이 활짝핀 매화를 구경하고 있다. 올해의 경우 지난해보다 3월 초 날씨가 맑게 유지되고 있어서 지난해보다 다소 빨리 꽃이 피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 기상청은 서울의 개화를 서울 종로구 송월동 서울기상관측소 내 지정 나무의 꽃이 한 가지에 세 송이 이상 활짝 피는 것을 기준으로 삼고 있다. 꽃이 피기 시작한 뒤 만개하기까지는 2~7일가량 걸린다. 기상청 등에서는 '만발'을 한 나무의 꽃이 80% 이상 활짝 피었을 때로 정하고 ..
봄 계양산 산책길(2023-02-26) 봄 계양산 산책길 1. 산행일 : 2023.02.26 (일요일) 2. 높이 : 계양산(395m) 3. 위치 :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4. 등산코스/소요시간 : 계양역→피고개→계양산정상→계양산 장미원→경인교대입구역 5. 특징/볼거리 : 계양산은 해발 395m로 인천을 대표하는 (鎭山)이자 주산이다 계양은 과거 기원초부터 19세기 말까지 읍치(邑治)가 계양산을 중심으로 하여 서쪽 삼국시대 고현읍(동북쪽古縣邑)에서 시작하여 쪽 그리고 동쪽으로 이동하며 마지막 남쪽 조선시대 부평도호부읍(富平都護府邑)에 이르기까지 여섯번 환천(換遷)을 하면서 발전하고 번창하였다 계양산 동쪽기슭 봉우리에는 삼국시대에 축조된 계양산성 (桂陽山城)이있고 서쪽으로는 조선 고종20년 (1883년)에 해안방비를 위하여 부평고을주민들이 ..
봄 청계산 변산바람꽃(2023-03-07) 봄 청계산 변산바람꽃(2023-03-07) 1. 산행일 : 2023.03.07 (화요일) 2. 높이 : 청계산 (618m) 3.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원동, 경기 과천시 막계동 , 의왕시 청계동, 성남시 수정구 4. 등산코스/소요시간 : 청계산주차장-청계계곡-국사봉-금토동종점 5. 특징/볼거리 : 분포지역 한국(경기도 수원시; 전라북도 부안군, 진안군; 경상북도 경주시; 울산시; 지리산; 한라산) 형태 여러해살이풀 크기 꽃대는 높이 10-30㎝가량. 잎 근생엽은 오각상 둥근 모양이고 길이와 폭은 각각 3-5cm이며 우상으로 갈라지고 선형이다. 줄기잎은 2장으로서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꽃 꽃대는 높이 10cm가량이고 꽃자루는 1cm이며 가는 털이 있다. 꽃받침은 흰색이고 5장이며 달걀모양이고 길이 ..
봄 양재동꽃시장 봄 양재동꽃시장 주소 : 서울 서초구 강남대로 27 양재동 232-4 (지번) 일자 : 2023년 02월 28일 (화요일) 날씨 : 맑음
봄 개화산 둘레길(2023-02-22) 봄 개화산 둘레길 1. 산행일 : 2023.02.22(수요일) 2. 높이 : 개화산(128m) 3. 위치 : 서울 강서구 개화동 산 91-4 4. 등산코스/소요시간 : 방화역→하늘길전망대→개화산 정상→약사사→아라뱃길전망대→신선바위→미타사→개화역 5. 특징/볼거리 : 서울시 남서쪽에 위치하며 한강을 사이에 두고 행주산성과 마주보고 있다. 높이는 약 128m이며 신라시대 주룡거사(駐龍居士)가 이곳에서 득도하기 위해 머물렀다고 전해진다. 그의 이름 때문에 한때 개화산을 주룡산이라고 불렀는데 그가 이곳에서 사망하고 그 자리에 꽃이 피어나자 그 이후로 열개(開), 꽃화(花)를 사용해서 개화산(開花山)이라고 부르게되었다. 산 정상에는 두곳에 봉수대가 있는데 서쪽과 남쪽에서 봉수를 받았을 것으로 추정된다. 더구나 한..
봄 서울숲 곤충식물원(2023-02-25) 봄 서울숲 곤충식물원 주소 : 서울 성동구 성수동1가 685-715 일자 : 2023년 02월 25일(토요일) 날씨 : 맑음 서울숲은 옛날엔 임금의 사냥터였다. 왕은 이곳에서 매사냥을 하고 무예를 닦았다. 1908년에는 서울 최초의 상수원 수원지였고, 이후에도 경마장, 골프장으로 활용되었다. 이제는 서울의 대표적인 녹색쉼터가 된 서울숲에는 예전 정수장의 급속여과지 건물을 활용해 만든 온실인 '곤충식물원'이 있다. 여름엔 시원하고, 겨울엔 따뜻해 젊은 부부가 아이의 손을 잡고 찾거나 친구와 이야기 나누며 편안하게 들르는 인기 장소다. 서울숲 곤충식물원은 오전 11시부터 오후 4시까지 운영하며, 무료로 관람할 수 있다. 월요일, 화요일은 휴관이다.
복수초 노루귀 야생화(2023-03-02) 복수초 노루귀 야생화(2023-03-02) 주소 : 인천 남동구 무네미로 236(우)21533 지번장수동 753 일자 : 2023년 03월 02일(목요일) 날씨 : 맑음 복수초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 아시아가 원산지로 산지나 숲 속에 분포한다. 뿌리줄기는 짧고 굵으며 흑갈색의 잔뿌리가 많아 수염뿌리처럼 보인다. 잎은 어긋나고 깃털처럼 갈라지며, 잎자루 밑에 녹색 턱잎이 있다. 이른 봄에 노란색 꽃이 피며 지름은 3~4cm 정도이다. 뿌리나 줄기 등에 아도니톡신이 들어 있어 한방에서 강심제 및 이뇨제로 사용된다. 북쪽지방에서는 눈 사이에 피어난 꽃을 볼 수 있어 눈색이꽃이라고도 부르며, 이른 봄에 노랗게 핀 꽃이 기쁨을 준다는 데서 이름이 유래했다. 노루귀 본 분류군이 속한 노루귀속은 전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