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소 : 서울 강서구 허준로 87(우)07525 가양동 26-5
일자 : 2024년 10월 27일 (일요일)
날씨 : 맑음
허준박물관
병원놀이 중인 아이가 청진기 대신 손목을 잡아끌어 진맥한다면, 이것은 분명 드라마에 자주 등장하는 허준 선생의 영향일 터이다. 그렇다면 아이 눈높이에서 한의학의 세계를 설명하고 명의의 꿈을 키워줄 허준박물관으로 여행을 떠나보자.
허준의 고향에 세워진 박물관
허준박물관은 『동의보감(東醫寶鑑)』을 편찬한 구암(龜巖) 허준의 업적을 기린 한국 최초의 한의학 전문박물관이다. 이곳에서는 한의학을 배우고 허준이 집필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인 『동의보감』을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특히 옥상 정원에 마련된 약초원에서 100여 종의 약초를 직접 관찰할 수 있어 자연생태학습과 한의학을 접할 수 있는 일석이조의 박물관이다.
강서구 허준로에 위치한 허준박물관은 허준 선생의 출생지와 관련이 깊다. 강서구의 옛 지명인 양천은 허준의 고향이며, 허준이 14년에 걸쳐 완성한 『동의보감』의 70%를 박물관 뒤 허가바위 아래에서 집필했다고 알려졌다.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에 등재된 『동의보감』
본전실은 3층에 있다. 영역에 따라 여섯 개 전시실로 세분된다. 제일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허준의 초상화다. 초상화 속 허준은 집념이 강하고 강직한 인상을 풍긴다. 30여 년 전 최광수 한의사가 그린 원본을 확대해 도자기 타일로 만든 것인데 국가에서 지정한 다섯 점의 허준 초상화 가운데, 두 점이 허준박물관에 전시되어 있다. 허준기념실에는 허준 관련 유물과 『동의보감』 목활자본 제작 과정 및 집필 모형, 허준의 저서와 한의학 관련 고서적, 의관과 의녀들의 모형 등이 전시되어 있다.
이어진 전시실에는 『동의보감』의 구성을 한눈에 알아보기 쉽게 정리해놓았다. 동의보감은 내경편, 외형편, 잡병편, 탕액편, 침구편 등 다섯 개의 편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중 질병에 대한 내용을 담은 잡병편이 열한 권으로 가장 많다. 『동의보감』 목판과 함께 전시된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등재인증서도 함께 확인해보자.
국내에 남아 있는 『동의보감』 초간본인 목활자본은 전본이 드물어 그 가치가 높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 태백산 사고 소장본이 보물 제1085호로 지정되어 있다.
'약초·약재 전시실'에는 감국, 강황, 인동, 생강나무 등 『동의보감』에 수록된 약초와 약재, 처방별 약재 자료가 전시되어 있다. 아이들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주요 약재의 분류와 효능, 약초에 담긴 전설 등을 재미있게 확인해볼 수 있다.
'서울의 산 > 서울시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우이천 원앙새(2024-12-10) (74) | 2024.12.18 |
---|---|
창덕궁 후원 단풍(2024-11-13) (23) | 2024.11.19 |
가을 단풍 덕수궁(2024-11-12) (19) | 2024.11.18 |
서울 경복궁 단풍(2024-11-06) (13) | 2024.11.12 |
가을축제 서울식물원 산책길 (12) | 2024.10.22 |
가을 서울 용산 전쟁기념관 (13) | 2024.10.19 |
서울 조계사 국화축제 (9) | 2024.10.15 |
서울 하늘공원 메타세콰이어 길 꽃무릇(2024-09-25) (34) | 2024.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