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계산 노루귀-변산 바람꽃 산행
1. 산행일 : 2025.03.14 (금요일)
2. 높이 : 청계산 (618m)
3. 위치 : 서울특별시 서초구 신원동, 경기 과천시 막계동 , 의왕시 청계동, 성남시 수정구
4. 등산코스/소요시간 : 청계산주차장-청계계곡-국사봉-금토동종점
5. 특징/볼거리 :
노루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다년생초. 학명은 ‘Hepatica asiatica Nakai’이다. ‘노루귀’라는 이름은 털이 돋은 잎이 나오는 모습이 노루의 귀 같다고 해서 붙여진 것이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포함한 식물 전체를 약용으로 사용하며 ‘장이세신(獐耳細辛)’이라고 부른다. 식재료로 활용할 때에는 어린잎을 나물로 먹는다.
꽃은 이른봄 나무들에 잎이 달리기 전인 3~4월에 자주색으로 피나, 때때로 하얀색 또는 분홍색을 띠기도 한다. 꽃에 꽃잎은 없고 6장의 꽃받침잎이 꽃잎처럼 보인다. 3갈래로 나누어진 잎은 토끼풀의 잎과 비슷하며 꽃이 진 다음에 뿌리에서 나온다. 잎 끝이 뾰족하고 잎 뒷면에 털이 돋는다.
잎보다 꽃이 먼저 피는 봄꽃으로 전국의 숲 속에서 자란다. 8~9월에 잎이 지고 월동한 후 다음 해 봄에 꽃이 피고 잎이 나온다. 낙엽수림 아래의 비옥한 토양에서 잘 자란다.
노루귀에 비해 개체가 큰 섬노루귀가 있다. 상록성으로 울릉도 특산이다. 남해안 일대와 제주도에는 식물 개체가 작게 변형된 새끼노루귀가 자란다.
변산바람꽃
한국(경기도 수원시; 전라북도 부안군, 진안군; 경상북도 경주시; 울산시; 지리산; 한라산)
꽃대는 높이 10cm가량이고 꽃자루는 1cm이며 가는 털이 있다. 꽃받침은 흰색이고 5장이며 달걀모양이고 길이 10-15mm이며 꽃잎도 5장이고 퇴화되어 2개로 갈라진 노란 꿀샘이 있다. 꽃밥은 연한 자색이다. 3-4월에 개화한다.
열매는 대과(袋果)로서 길이 1cm이고 암술대는 2-3mm이다. 종자는 여러개가 들어있으며 둥글고 갈색이다. 털이 없고 짧은 열매자루구비. 표면은 평활하고 1-5개이다.
낙엽수림의 가장자리에서 자란다.
• 전북 진안군 마이산에서도 해발 300m지역의 조릿대군락 수림하의 전석지에서 생육하고 있다.
• 전북 부안군 내변산의 세봉계곡 해발 100-200m지역의 물이 얕은 계곡 전석지에서 생육한다.
최근에 알려진 종이다. 자생지 확인 및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전.
'경기도의 산 > 화야-천마-청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야산 얼레지 산행(2024-04-05) (47) | 2024.04.09 |
---|---|
청계산 청계사 노루귀 산행(2024-03-19) (91) | 2024.03.24 |
천마산 너도바람꽃 산행(2024-03-10) (56) | 2024.03.14 |
청계산 변산 바람꽃(2024-03-08) (80) | 2024.03.12 |
봄 청계산 산행(2024-02-14) (91) | 2024.02.18 |
가을 청계산 옥녀봉 산행길 (70) | 2023.10.06 |
청계산-매봉산 산행길(2023-06-02) (39) | 2023.06.08 |
가평 화야산 얼레지(2023-04-03) (12) | 2023.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