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기도의 산/수리-원미-남한

수리산 대벌레(돌발해충)둘레길

수리산 대벌레(돌발해충)둘레길

1. 산행일 : 2022.06.16(목요일)

2. 높이 : 수리산 (489m)

3. 위치 : 경기 군포시 산본동 산 28-2

4. 등산코스/소요시간 : 성결대학교~관모봉~태을봉(수리산 정상)~슬기봉~임도오거리~초막골생태공원~철쭉공원

 

5. 특징/볼거리 :

 

군포시가 작년에 이어 올해도 수리산 대벌레(돌발해충)와의 전쟁에 나섰다. 올해 수리산 대벌레 및 기타 돌발해충 방제를 위해 군포시는 국비-도비-시비 등 총 4억3800만원을 확보해 놓은 상태다.

수리산 일대에 대벌레가 출몰하기 시작한 가운데 군포시는 수리산 생태계 건강성을 유지하고 돌발해충으로 인한 등산객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대벌레 방제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2~3년 전부터 수리산 일대에서 개체수가 급증하기 시작한 대벌레는 활엽수 지대에서 주로 나타나는데, 피해를 받은 나무는 고사하거나 죽지는 않으나 미관상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올해는 4월10일경 수리산에서 대벌레가 출몰하기 시작했으며, 군포시는 물리적 방제인 끈끈이롤트랩을 설치해 선제 조치를 취한데 이어 대대적으로 친환경 방제를 실시하고 있다.

이번에 발생한 지역은 수리산 감투봉-능내정-무성봉 일원 등이다. 군포시는 안전하고 편안한 수리산 등산을 위해 병해충방제단을 투입해 자체 방제를 하고 있으며, 추가로 전문 업체에 긴급 방제를 의뢰하는 등 방제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가느다란 나뭇가지처럼 보이는 대벌레 전체 몸길이는 10cm 내외로, 매년 3~4월쯤 부화해 6월 중순이면 성충으로 변하고 가을 무렵까지 생존한다고 알려졌다.

한 마리당 산란기에 600~700개 알을 낳는다고 하며, 이듬해 알이 부화하면 그만큼 개체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난다.

특히 최근 겨울철 이상 고온으로 알의 생존률이 높아진데다 급격한 도시화에 따른 천적 감소 등 생태계 교란 등이 작용하면서 대벌레 대량 출몰로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홍유진 생태공원녹지과장은 “현재는 대벌레 약충(애벌레)이 발생한 상황으로, 초기단계에서 선제적이고 적극적으로 대벌레 방제에 총력을 기울여 산림병해충 밀도를 저감해서 산림생태계를 보호하고 수리산을 찾는 시민에게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참고) 대벌레 성체로 성장.   수리산 수암봉 2021.08.14(토요일)